어쩌다 탐하는 남자133 전갱이 아지 효능 및 영양성분 부작용 등푸른생선 종류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 어요남입니다. 오늘 파헤쳐 볼 식재료는 바로 '전갱이'입니다. 전갱이가 어떤 종류의 생선인지 생소하신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사실 우리나라보다는 일본에서 고급 초밥 재료로 대접을 받고 있으며 고등어나 삼치 못지않은 영양과 맛을 지닌 식재료입니다. 오늘 전갱이에 대해서 속속히 알려드릴 테니 따라오세요. 한국보다 일본에서 인기 있는 전갱이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잡히는 전갱이는 남해안 지역에서는 '메가리', 제주도 지역에서는 '각재기', 그 외에도 전광어, 가라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한때는 가짜 고등어 취급을 받았지만 일본에서는 고급 초밥 재료로 대접을 받으며 고등어 못지않은 맛과 영양을 지니고 있어 산란을 끝낸 7~8월 이맘때 최고의 맛과 영양을 자랑하는 .. 2023. 7. 21. 도라지 효능 및 영양성분 부작용 고르는 법 보관법 손질법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 어요남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재료는 '도라지'입니다. 지금이 약효가 가장 뛰어난 제철인데요. 도라지의 효능에 대해서는 너무나도 많아 나열하기가 힘들 정도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감기, 기침, 가래에 아주 좋은 음식입니다. 오늘도 열심히 도라지에 대해 파헤쳐보겠습니다. 좋은 도라지 고르는 법 - 흙과 잔뿌리가 비교적 많이 붙어 있고, 원뿌리가 2~3개로 갈라진 것 - 껍질을 벗긴 도라지는 흰색을 띠며 향기가 강하고 반듯한 모양을 가진 것 - 공기 중에 오랫동안 노출되지 않아 마르지 않은 것 - 뿌리가 곧고 잔뿌리가 많지 않은 것 - 짓무름과 같은 상처가 없는 것 도라지 보관법 *냉장보관 도라지의 껍질을 벗기지 않고 보관해야 향과 맛을 잃지 않습니다. 도라지의 흙을 가볍.. 2023. 7. 19. 갈치 효능 및 영양성분 부작용 고르는 법 국내산 수입산 차이 은갈치 먹갈치 차이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 어요남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재료는 '갈치'입니다. 갈치는 자산어보에 소개될 만큼 오랫동안 한국인들의 밥상을 지켜온 대표적인 생선입니다. 제철 맞아 살이 오동통하게 오른 갈치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파헤쳐보겠습니다. 따라오세요. 좋은 갈치 고르는 법 - 눈알이 터지지 않고 맑고 깨끗한 것 - 비늘이 벗겨지지 않고 매끈하며 상처가 없는 것 - 눌러보았을 때 단단하고 탄력이 있는 것 - 3~4지(指) 정도 되는 크기를 고를 것 - 넓이보다는 두께가 좋은 것 국내산 갈치 vs 수입산 갈치 차이점 *눈동자 차이 - 국내산 갈치는 투명한 흰자위에 까만색 동공을 띠고 있습니다. 대부분 투명한 흰자위이지만 선도에 따라 연노란색을 띠거나 혈액이 침착되어 붉은색을 띠는 경우도 종종 있습.. 2023. 7. 17. 열무 효능 및 영양성분 부작용 열무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 어요남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재료는 '열무'입니다. 열무는 생육기간이 짧아 1년에 여러 번 재배할 수 있어 한국인의 밥상을 책임지는 고마운 음식인데요. 그동안 몰랐던 열무에 대한 비밀들을 속속히 파헤쳐보겠습니다. 따라오시죠! 1년에 여러 번 수확이 가능한 열무 열무라는 명칭은 '어린 무'를 뜻하는 '여린 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예전에는 여름철에 사이짓기로 재배되었으나 도시화 추세와 더불어 도시 근교를 중심으로 집약적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재배하기가 비교적 간단하고 생육 기간도 짧아서 겨울에는 60일 전후, 봄에는 40일 전후, 제철인 여름에는 25일 전후면 수확이 가능하므로 1년에 여러 번 재배할 수 있습니다. 열무는 잎이 연하고 맛이 있어서 뿌리인 무 부분보다는.. 2023. 7. 14.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