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탐하는 남자133 꼬막 효능 및 영양성분 부작용 꼬막의 종류 고르는 법 손질법 삶는법 꼬막 껍질까는법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재료는 '꼬막'입니다. 단백질과 비타민,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빈혈 예방에도 좋은 꼬막은 겨울의 시작인 11월부터 3월까지 제철입니다. 그래서 '겨울의 입맛을 깨우는 시작'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채취되며 연한 진흙질의 바닥에서 생활합니다. 오늘 그동안 알지 못했던 꼬막에 대해서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시작합니다. 꼬막의 종류 *참꼬막 진짜 꼬막이라는 의미로 '참'자가 붙은 참꼬막은 표면에 털이 없고 쫄깃쫄깃한 맛이 뛰어난 고급품종으로서 꼬막을 제사상에 올릴 때에는 꼭 참꼬막을 올리기 때문에 '제사꼬막'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일반 꼬막(새꼬막) 보다 크고 털 없이 매끈한 껍데기 깊고 굵은 골이 19.. 2023. 10. 29. 광어 효능 및 영양성분 부작용 광어 고르는 법 광어 도다리 구분법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음식은 '광어'입니다. 광어는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횟감 생선 중 하나이며 고단백, 저지방, 저칼로리로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어 건강한 사람부터 노약자까지 누구에게나 사랑을 받는 식재료입니다. 주로 회나 튀김으로 만들어 먹고, 비린내가 없어 매운탕, 장국으로도 사용되는 식재료입니다. 오늘 그동안 알지 못했던 광어에 대해 제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광어와 도다리 구분법 '좌광우도' '좌광우도'는 광어와 도다리를 구별할 때 쓰는 말입니다. 광어와 도다리는 생김새가 비슷해 구별하기 쉽지가 않은데 광어와 도다리의 입과 눈을 마주 봤을 때 눈이 왼쪽으로 붙어 있으면 광어, 오른쪽에 붙어 있으면 도다리입니다. 왼쪽이라는 두 글자는 광어, 오른쪽이라는 세 글자는 .. 2023. 10. 28. 홍합 효능 및 영양성분 부작용 홍합의 종류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재료는 '홍합'입니다. 홍합 하면 추운 겨울 따뜻한 국물이 생각날 때 포장마차에서 즐겨 먹는 뽀얀 국물에 담백한 맛까지 섞여 있는 홍합탕이 생각납니다. 서민들의 속을 풀어주는 대표적인 술안주인데요. 칼슘과 인, 철분,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우리 인체의 건강을 여러 부분 책임지고 있는 홍합은 11월에서 2월이 살이 가장 통통하여 적기이며, 그동안 알지 못했던 홍합에 대해서 오늘 제대로 파헤쳐 보겠습니다. 홍합의 종류 *참담치 - 우리나라 토종 홍합 - 자연산만 존재 - 풍미가 깊어 고품질로 인정받음 - 한정된 양으로 시장에서는 보기 드문 편 *지중해 담치 - 유럽에서 들어온 홍합 - 우리가 평소에 흔히 먹는 홍합 - 자연산, 양식(남해안) 모두 .. 2023. 10. 23. 참조기 효능 및 영양성분 부작용 참조기 부세 구분법 고르는 법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재료는 '참조기'입니다. 지금은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옛날에는 특별한 날, 특별한 상에만 오르던 귀한 생선이 조기입니다. 민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으로 참조기, 일명 황금조기라고 불리며 조기는 사람의 기를 돕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기는 산란기에 서식지를 옮기는 회유성 어종입니다. 가을이 찾아오면 제주에서 올라오기 시작해 겨울 흑산도 앞바다, 진도에 성시를 이룹니다. 참조기는 궁중에 진상되는 공상품의 하나로 지금은 제수용, 선물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조기는 굴비의 주재료이며, 흰 살 생선중에서도 담백한 맛이 일품입니다. 그동안 알지 못했던 조기에 대해서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따라오시죠. 국내산 참조기와 중국산 .. 2023. 10. 22.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