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어쩌다 탐하는 남자133

봄철 식재료 - 미나리 효능 및 부작용 미나리 손질법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 어요남입니다. 오늘의 봄철 식재료 탐험은 바로 미나리인데요. 미나리는 생으로도, 구워서도, 데쳐서도 먹는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음식입니다. 하지만 독특한 향 때문에 호불호가 많이 갈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영양만큼은 어디에도 꿀리지 않을 정도로 좋은 식재료이니 제철 맞은 미나리로 건강한 밥상 차려보시길 바랍니다. 물미나리 돌미나리 특징 미나리는 특유의 향긋함과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인 식재료입니다.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한 미나리는 특히 해독작용이 뛰어나 체내 중금속이나 각종 독소를 배출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미나리는 크게 물미나리와 돌미나리로 구분이 됩니다. 물미나리는 논에서 재배되어 논미나리라고도 불리는데 줄기가 길고 잎이 연하여 상품성이 높아요. 이에 비해 돌미.. 2023. 3. 30.
봄철 식재료 - 바지락 효능 및 부작용 바지락 손질법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 어요남입니다. 오늘 봄철 식재료 탐구는 바지락을 준비했습니다. 바지락은 재첩 다음으로 아주 작은 패류에 속하지만 시원하고 깊은 맛을 내는 데는 이만한 것이 없을 정도로 인기 있는 식재료인데요. 사시사철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지금이 가장 알이 크고 달달하여 영양분이 풍부한 시기입니다. 오늘 작지만 강한 바지락에 대해서 어요남이 집중적으로 파헤쳐 보겠습니다. 봄철 대표적인 해산물 바지락 바지락은 진판새목 백합과에 속하는 작은 바닷조개로 동해안 지역에서는 '빤지락' ,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반지래기' , 인천이나 전라도지역에서는 '반지락' 이라고 부릅니다. 바지락이라는 이름은 호미로 갯벌을 긁을 때 부딪히는 소리가 '바지락바지락'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바지락은 수심.. 2023. 3. 26.
봄철 식재료 - 멍게 효능 및 부작용 멍게 손질법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 어요남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봄철 해산물을 준비했는데요. 바로 멍게입니다. 생긴 것은 우락부락하지만 영양은 아주 뛰어난 식재료인데요. 다른 해산물과는 달리 거의 익혀서 먹지 않고 날 것으로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멍게는 특유의 향과 맛 때문에 호불호가 많이 나뉘기도 하는데요. 오늘 어요남이 제대로 멍게에 대해서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3대 저칼로리 해산물 멍게는 피우라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동해와 남해 연안의 수심 6~20m 내외의 암석이나 해초, 조개등의 표면에 부착해 서식을 합니다. 독특한 생김새와 맛 때문에 우리나라, 일본, 중국, 칠레 등 몇 안 되는 국가에서만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 북태평양 연안에서 다량 생산되며 일본에서는 1천 년 전부.. 2023. 3. 25.
봄철 식재료 - 달래 효능 및 부작용 달래 손질법 안녕하세요? 어쩌다 요리하는 남자 어요남입니다. 오늘은 봄나물의 대표 식재료 중 하나인 달래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달래는 특유의 쌉싸름함과 알싸함으로 많은 요리에 사용되고 있는데요. 맛과 향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아주 좋다고 하니 봄철 입맛 없을 때 이만한 재료가 없죠? 오늘 팔방미인인 달래에 대해서 어요남이 집중적으로 파헤쳐보겠습니다. 대표적인 봄나물 달래 냉이와 함께 봄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봄나물로 톡 쏘는 매운맛과 알싸함으로 봄의 미각을 자극하는 달래는 이른 봄부터 들이나 논길 등에 커다란 덩이를 이루며 서식합니다. 달래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분포지역은 우리나라, 일본, 중국 동북부, 우수리강 유역입니다. 요즘은 하우스 재배가 발달하여 사시사철 즐길 수 있으나, 3~4월 봄철 노.. 2023. 3. 20.